
디자인의 원리
균형
(대칭, 비대칭
비례, 주도, 종속)
리듬(점이, 점증, 반복, 강조, 강약)
조화
(유사, 대비
균일, 강화)
통일과 변화
(정돈)
1)유사- 동질의 부분이 조합될 때에 이루어진다. 유사에서 온화함을 얻을 수 있지만 때로는 단조로워질 수도 있다. 이때에는 반복효과에 의하여 리듬감을 이끌어낸다.
2)대비- 서로다른부분의 조합에 의하여 생기는데, 시각적 힘의 강약에 의한 형의 감정효과 라 할 수 있다. 대비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여러 경우를 경험하게 하는데 낮과 밤, 하늘과 바다, 전통과 현대 등에서, 하나의 형태가 빈 공간을 둘러싸고 있을 때, 직 선이 곡선과 만날 때, 크기가 다른 형태가 만날 때, 수평과 수직 방향이 같은 자리 에 있을 때 들이다.
1. 조화


1)부분간의 질서- 대상의 부분과 부분, 부분과 전체 사이에 질서를 주는 형식
2)통일감 조성- 무질선 → 일직선 나열
2. 통일과 변화
3. 균형
1)대칭- 균형의 가장 정형적인 모습으로 정적인 균형이 잡힌 상태이다. 질서를 주기 좋고 통일감을 얻기 쉬우나, 옛 관공서 건물의 이미지와 분위기를 생각하면 알 수 있듯 이 엄격하고 딱딱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.
2)비례- 부분과 부분 또는 부분과 전체 사이에 좋은 비례를 가지는 구성은 균형이 잡혀 보 는 사람에게 즐거움을 준다. 또 회화, 조각, 공예, 디자인, 건축 등 조형을 구성하 는 모든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며, 각 단위의 상호관계도 비례에 의해서 결정된다.
(황금비, 루트 직사각형비, 등비수열비)
3)주도와 종속- 조형에서 부분과 부분의 관계는 나란한 관계이거나 대립하는 관계이다. 주 도와 종속의 효과는 대립의 경우에 나타나며 궁극적으로는 조형요소 사이 의 위계를 잡아줌으로써 통일감을 준다. 주도는 조형의 모든 부분에 나타나 는 사각형의 힘이며, 종속의 주도적인 것을 끌어당기는 상대적인 힘이 되어 전체에 조화를 가져온다.



4. 율동
1)점증- 각 대상에 점증적으로 변화를 주면 생동감 있는 율동의 효과를 낼 수 있다.
2)반복- 동일한 단위 형태를 한번이상 사용할 때 이를 반복이라 한다. 단위형의 반복은 조 화로움과 규칙적인 박동의 표정을 가진다. 반복은 율동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. 같은 형식의 구성을 반복하면 자연스럽게 시선이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동적인 느낌 을 주게 된다. 반복요소도 시각적으로는 힘의 강약 효과가 있어 율동감을 나타낸다. 반복은 연속적인 공업 생산에 가장 효율적인 표현방법이며, 구성의 형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. 디자인을 할 때 반복의 가장 단순한 표현방법은 건축물의 기둥과 창 문, 가구의 다리, 직물의 무늬 복도의 타일 등에서 볼 수 있다.


5. 강조
출처 '나'



-시각적인 힘의 강약에 단계를 주어서 각 부분을 구성하면 강조를 나타낼 수 있다. 강조의 표정은 변화, 변칙, 불규칙을 의도적으로 만듦으로써 전체에 어떤 악센트를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. 강조는 통일감과도 관련이 깊어 조형물의 전체 구도애서 어떤 부분이 강조 될 때 우리는 그 강조점을 중심으로 통일감을 느낀다. 디자인에서 강조는 충분한 필요성과 한정 된 목적을 가질 때 적용된다. 즉, 주위를 환기시킬 때, 단조로움을 덜거나 규칙성을 깨뜨릴 때, 관심의 초점을 만들거나 움직이는 효과와 흥분을 조성시킬 때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목 적을 이룰 수 있다.